< 그리스도께서 선택된 자들만을 위해 죽으셨다고 가르치는 위험 >
이것은 일반적으로는 ‘제한 속죄’(limited atonement)라고 알려져 있습니다(몇몇 개혁주의 신도들은 그것을 ‘확실한 속죄’(definite atonement)라고 부르기를 좋아합니다). 이 교리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시며 오직 선택된 자들의 죄들을 위해서만 죗값을 치르셨다고 가르치는 것입니다. 그분께서는 궁극적으로 불 호수에 있게 될 사람들을 위해서는 죽지 않았습니다. 가끔 이 교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구별 없이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지만 예외 없이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신 것은 아니다.
이런 언어유희 게임(말장난)을 통해 그들은 실제로 그분께서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음을 의미하지 않으면서 마치 그분께서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그리스도께서 모든 종류의 사람들과 모든 계급의 사람들을 위해 죽으셨지만 모든 사람들 개개인을 위해 죽지는 않았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말을 바꾸면, 그분께서는 모든 부류의 사람들, 즉 유대인과 이방인, 부자와 가난한 자, 종과 자유인, 남자와 여자, 백인과 흑인 등을 위해 죽으신 것이 되며 세상의 모든 사람 개개인을 위해 죽으신 것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분께서 오직 선택된 유대인과 이방인, 선택된 부자와 가난한 자, 선택된 남자와 여자, 선택된 백인과 흑인 등을 위해서만 죽으신 것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라이터 박사(Dr. P. Reiter)는 이 문제에 대한 강해를 분명하고 간단하게 요약 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누구를 위해 죽으셨나요?” 그분은 다음 사람들을 위해 죽으셨습니다.
* 모두를 위해(딤전2:6; 사53:6)
* 모든 사람을 위해(히2:9)
* 세상을 위해(요3:16)
* 온 세상의 죄들로 인해(요일2:2)
* 하나님의 뜻대로 살지 않는 자들을 위해(롬5:6)
* 거짓 교사들을 위해(벧후2:1)
* 많은 사람을 위해(마20:28)
* 이스라엘을 위해(요11:50-51)
* 교회를 위해(엡5:25)
* ‘나’를 위해(갈2:20)
제한 속죄를 주장하기 위해 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은 많은 구절들의 분명한 언어와 확실한 의미를 무시하고 성경기록을 자신들의 신학적 틀에 억지로 맞추어야만 합니다. 제한 속죄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문제는 “과연 그것이 성경적인가?”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성경은 무어라고 말합니까?”(롬4:3). 우리는 어린아이와 같은 믿음으로 단순하게 성경이 말하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러한 잘못된 교리를 홍보하는 사람들은 ‘세상’은 실제로 ‘세상’이 아니고 ‘모두’는 실제로 ‘모두’가 아니며 ‘모든 사람’은 실제로 ‘모든 사람’이 아니고 ‘온 세상’은 실제로 ‘온 세상’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또한 요한복음 3장 16절과 이사야서 53장 6절과 같은 단순한 구절들을 아이가 이해하는 것처럼 이해하지 말고 신학자가 이해하는 것처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것은 곧 우리가 신학 체계의 관점에서 그런 구절들을 재해석해야 함을 뜻합니다.
속죄의 참된 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어린양의 희생이 세상의 죄를 제거하였으며(요1:29) 구원자의 대속 사역(딤전2:6; 벧후2:1)과 화해 사역(고후5:19)과 화해 헌물(요일2:2)이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었다고 가르친다(딤전4:10). 그러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은 오직 믿는 자들에게만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적용된다(딤전4:10; 요3:16).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은 제한이 없으나 성령님의 사역을 통한 그 일의 적용은 오직 믿는 자들에게로만 제한된다.
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은 십자가는 오직 선택된 자들을 위해 계획되었고 ‘선택되지 않은 자들’(영속적 불신자들)에게는 아무 목적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은 이 두 그룹 모두를 위한 하나님의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선택받은 자들을 위해 하나님께서는 세상이 시작되기 전에 자신의 목적과 그리스도 예수님의 은혜에 따른 구원을 계획하셨습니다(딤후1:9; 살후2:13). 한편 불신자들을 위해 하나님께서는 불신자들이 변명하지 못하게 할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사람들이 정죄받는 것은 그들이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께서 하신 일을 거절하고 죄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님의 유일한 구제책을 거부했기 때문입니다(요3:18; 5:40). 불신자들에게는 그들의 구원에 대한 대책이 전혀 예비되지 않았다거나 제공되지 않았다고 우리는 결코 말할 수 없습니다.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은 하나님 앞에 서서 “그리스도께서 나를 위해 죽지 않으셨기 때문에 내가 구원받지 못했습니다.”라고 결코 말할 수 없습니다. “아닙니다. 그들이 구원받지 못한 이유는 그들을 위해 죽으신 분 곧 모든 사람들의 구원자이신 그분을 그들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딤전4:10) 그들에게는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 이슈는 단지 이론적인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지극히 실제적 사안입니다. 그것은 복음과 복음의 제시에 가장 큰 영향을 줍니다. 고린도의 불신자들에게 바울이 선포한 복음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들로 인해 죽으셨다.”(고전15:3)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정말 모든 사람들을 위한 기쁜 소식의 복음을 가지고 있습니까?(눅2:10-11 비교) 복음을 선포할 때 믿지 않는 자들에게 우리는 뭐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과연 우리는 “내 친구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신을 위해 죽으셨습니다. 그분께서 당신의 죗값을 지불하셨습니다. 그분께서 당신 대신 죽으셨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한 개혁주의 신학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크리스천 상담자들은 그리스도께서 주장하신 것들을 제시해야만 합니다. 그들은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대신해서 그들의 죄들을 짊어지고 값을 치르는 고통을 겪으며 십자가에서 죽으셨다는 기쁜 소식을 제시해야 합니다. 그분께서는 아버지께서 자기에게 주신 모든 사람들이 자기에게 와서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죽으셨습니다. 개혁주의 크리스천으로서 저자는 상담자들이 상담 대상자에게 그리스도께서 그를 위해 죽으셨다고 말하지 말아야 한다고 믿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렇게 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 그분 외에는 아무도 그분께서 대신 죽어야 했던 사람, 즉 그분께서 선택하신 자가 누구인지 모릅니다.
매킨토시가 말한 것처럼, “극단적 칼빈주의라는 고등 교리 학교의 학생들은 온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담은 ‘전 세계적인 복음’, 즉 하늘 아래 모든 창조물에게 주어지는 기쁜 소식에 대해 듣지 못할 것입니다. 그는 오직 선택된 자들만을 위한 복음만 가지고 있습니다.”
복음 전도 대상들에게 제공되지 않은 것을 어떻게 우리가 진지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까? 구원의 선물이 그들을 위해 구매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우리가 그들에게 공짜 선물을 제공할 수 있습니까? 그들을 위해 어떤 물도 준비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우리가 그들에게 생명샘으로부터 물을 마시라고 촉구할 수 있습니까?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들의 구원을 준비하지 않으셨는데 어떻게 우리가 그들에게 구원받으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먹을 약과 처방된 치료법이 없는데 어떻게 우리가 어떤 사람에게 “약을 먹고 나으세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알렉산더는 **“제한 속죄라는 이 가정을 따른다면 모든 사람에게 복음과 복음의 약속을 설명하고 구원으로 초청하는 것은 합당한 기초 없이 이루어지는 일이며 더 간단히 말하면 그리스도께서 제공하시지 않은 것을 제공하거나 단순히 그것을 조롱하는 것같이 보인다.”라고 설명합니다.
** W. Lindsay Alexander, 「A System of Biblical Theology」, Vol. 2, p. 111.
개혁주의 설교자가 정말 제한 속죄에 대해 정직하게 믿는다면 그는 자기의 ‘복음’을 다음과 같이 선포해야 할 것입니다.
아마도 그리스도께서 당신을 위해 죽으셨을 것입니다.
아마도 하나님께서는 당신을 매우 사랑하셨을 것입니다.
어쩌면 그리스도께서 당신을 위해 자신의 피를 흘리셨을지 모릅니다.
아마도 구원이 당신을 위해 준비되었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을 향해 자신의 사랑을 주시는 것은 가능할지 모릅니다.
그분께서 당신의 죄들을 위한 화해 헌물이시기를 희망합니다.
그리스도께서 당신 대신 죽으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제가 기쁜 소식을 가져올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당신을 위해 죽으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일 당신이 구원받았다면 우리는 그분께서 당신을 위해 죽으셨다는 것을 알지만 만일 당신이 그분을 계속 거부한다면 그분은 당신을 위해 죽지 않으셨습니다.
만일 당신이 그리스도께서 당신을 위해 죽으셨다고 믿으면 - 이것은 당신이 선택받았음을 증명함 -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을 위해 죽으셨습니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이것을 믿지 않고 죽는 날까지 불신 가운데 거하면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을 위해 죽지 않으셨습니다.
제한 속죄 교리를 붙잡고 있는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복음을 제시하지는 않지만 그들이 정말로 제한 속죄를 믿는다면 이런 식으로 복음을 제시하는 것이 그들의 신학과 맞지 않습니까? 믿지 않는 자들과 복음을 나눔에 있어서 이것이야말로 정확하고 주의 깊고 진실한 방법이 아니겠습니까? 극단적 칼빈주의자는 불신자에게 복음을 제시할 때 그리스도께서 그 사람을 위해 구원을 예비하셨는지에 대해 결코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을 제시할 때 매우 주의해야만 합니다.
라이트너는 “제한 속죄를 믿게 되면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은혜의 기쁜 소식’을 개개인에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이런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복음 선포 및 증언 대상에게 그리스도께서 그를 위해 죽으셨다고 말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사실 그 사람이 그리스도께서 대신 죽은 사람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천로역정」의 저자인 번연(John Bunyan, 1628-1688)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목격하였습니다.
하나님의 허락하심으로 복음을 제시할 때 우리는 그리스도의 죽음 이상의 어떤 것을 제시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의 죽음이 제거된다면 복음도 없고 죄인에게 적용되는 은혜도 없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그리스도께서 복음 선포 대상을 위해 죽지 않으셨다면 어떻게 우리가 그 사람에게 복음을 제시할 수 있습니까? 복음 선포 대상을 위해 예비되지 않은 것을 어떻게 우리가 그에게 제시할 수 있습니까? 라이트너는 “구원을 제시한다는 것은 구원이 예비되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며 이보다 확실한 것은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칼빈주의자인 뵈트너(L. Boettner, 1901-1990)는 “보편적 구속은 보편적 구원을 의미한다.”라고 말합니다.10) 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대신 죽은 모든 자들만 구원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들은 이렇게 합리화합니다.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다면 모든 사람이 구원받을 것입니다.”
이 말의 논리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이것은 이렇게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약이 제공된다면 모든 사람은 반드시 치유되어야만 합니다.” 이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입니다. 모든 사람에게 약이 제공된다 해도 그것을 먹지 않으면 아무 유익이 없을 것입니다. 어떤 마을에 목마른 모든 사람들을 위해 시원한 생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 사실이 그 마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갈증을 해소할 수 있음을 뜻합니까? 모든 사람이 그 물을 마실 경우에만 그럴 것입니다!
우리는 구속의 성취와 구속의 적용 간의 차이를 구별해야 합니다.**
주님, 죄인들의 수가 바닷가의 모래보다 더 많음을 믿습니다.
주님께서 그 모든 사람을 위해 속죄값을 지불하셨습니다.
그 모든 사람들을 위해 주님께서 완전한 속죄를 이루셨습니다.**
** 이 주제를 좀 더 공부하기 원하는 독자는 미들타운성경교회의 다음 소책자를 보기 바란다. <For Whom Did Christ Die? - A Defense of Unlimited Atonement>, <Savior of all men - The Meaning of 1 Timothy 4:10>, <God’s Willingness and Man’s Unwillingness>
추천 도서는 다음과 같다. 「The Death Christ Died」(Robert Lightner, Kregel, 1998), 「Did Christ Die Only for the Elect?」(Norman F. Douty, Wipf and Stock Publishers, Eugene, OR), 「Systematic Theology」(Lewis Sperry Chafer, Vol. 3, pp. 183-205.)
** Nikolaus L. von Zinzendorf, 1739
'칼빈주의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④ (1) | 2025.04.15 |
---|---|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③ (0) | 2025.04.15 |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① (0) | 2025.04.15 |
칼빈주의 비평 - 나는 왜 칼빈주의를 믿지 않는가?⑤ (0) | 2025.04.14 |
칼빈주의 비평 - 나는 왜 칼빈주의를 믿지 않는가?④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