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클릭하지 마세요. 티스토리 놈들이 허락도 상의도 없이 놀렸네!!!
20 그 땅에 거주하던 호리인 세일의 아들들은 이러하니, 로탄과 소발과 시브온과 아나와
세일은 ‘거칠다’란 뜻이며 호리인들은 거친 민족이다. 이들이 동굴에 거주하던 자들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으나 신2:12에 따르면 이들은 네피림과 르파임, 즉 창세기 6장의 타락한 거인들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신2:12 전에는 세일에 호리인들도 거하였으나 에서의 자손들이 그들을 정복하고 그 자손들이 그들 앞에서 그들을 멸하고 그들 대신 거하였으니, 주께서 그들에게 주신 그의 소유의 땅에서 이스라엘이 행했던 것과 같았느니라.
에서가 이 민족과 혼인을 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의 아내들 중 하나는 히위인이고 이 히위인은 호리인으로 성령에 의해 해석되어 있다. 엘리파스의 첩 팀나 역시 호리인이다.
① 로탄 : ‘둘러쌈’
② 소발 : ‘흘러감’
③ 시브온 : ‘사나운 도둑’
④ 아나 : 창36:2
21 디손과 에셀과 디산이라. 이들은 에돔 땅에 있는 세일의 자손들로서 호리인들의 족장들이라.
22 로탄의 자손들은 호리와 헤맘과 로탄의 누이 팀나요,
23 소발의 자손들은 알완과 마나핫과 에발과 스보와 오남이요,
에서가 오기 전 에돔 땅에 살고 있던 원주민은 호리인이었다. 이들은 에서에게 쫓겨났다.(신2:10-12)
신2:10-12 과거에 엠인들이 거기 거하였는데 그들은 아낙인들처럼 강하고 많으며 키가 큰 백성으로, 그들 역시 아낙인들처럼 거인들로 여겨졌으나 모압인들은 그들을 엠인들이라 불렀으며, 전에는 세일에 호리인들도 거하였으나 에서의 자손들이 그들을 정복하고 그 자손들이 그들 앞에서 그들을 멸하고 그들 대신 거하였으니, 주께서 그들에게 주신 그의 소유의 땅에서 이스라엘이 행했던 것과 같았느니라.
⑤ 디손 : 황양
⑥ 호리(로탄의 아들) : ‘자유로운’ 혹은 ‘귀족’ 강단주석에서는 아들 대신 지파라고 잘못 해석하고 있다.
⑦ 해맘(로탄의 아들) : ‘파괴’ 혹은 ‘격동’ 대상1:39에서는 ‘호맘’이라고 나와 있다.
대상1:39 로탄의 아들들은 호리와 호맘이요, 팀나는 로탄의 누이더라.
⑧ 팀나(로탄의 누이) :
⑨ 일완(소발의 아들) : ‘불의한’ 혹은 ‘교만함’ 대상1:40에는 알리안으로 나와 있다.
대상1:40 소발의 아들들은 알리안과, 마나핫과, 에발과, 시비와, 오남이요, 시브온의 아들들은 아야와 아나며
⑩ 마하낫(소발의 아들) : ‘안식’
⑪ 에발(소발의 아들) : ‘잎이 떨어진’
⑫ 스보(소발의 아들) : ‘벌거벗음’ 대상1:40(시비)
⑬ 오남(소발의 아들) : ‘강한’
⑭ 아야(시브온의 아들) : ‘비명을 지르는 자’
⑮ 아나(시브온의 아들) : ‘대담함’
24 시브온의 자손들은 아야와 아나 둘이며, 이 아나는 그가 그의 아비 시브온의 나귀들을 칠 때에 광야에서 노새들을 발견했더라.
모든 학자들은 <킹제임스성경>의 본문에 나와 있는 노새들(mules)을 온천(warm springs)으로 바꾸어 버린다. ‘예밈’이란 히브리어 단어가 온천을 의미한다는 이론은 히브리어 어근에 근거한 것이 아니고 제롬의 <라틴 벌게이트> 성서에 따른 것이다. 이것은 종교개혁 본문을 거부한 로마 카톨릭의 주장이다.
본문이 까다로운 것은 ‘예밈’과 비슷한 그 어떤 단어도 노새(mule)를 의미하는 것 같지 않기 때문이다. 히브리어의 나귀(ass)는 ‘챠모즈’라고 하는 데 ‘붉은’ ‘발효된’ 혹은 ‘부풀어올라 끓는다’는 뜻이다.
‘챠모즈’는 역청의 의미도 갖고 있다. 이와같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성경대로 믿는 사람들은 매무 조심해야만 한다.
* 학자들은 <라틴 벌게이트>에 나오는 제롬의 의견과 같은 흐릿한 증거에 근거한 권위역본의 본문을 거절할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어째서 이번에는 받아들이려 하는가?
* 권위역본의 여호수아 대신 예수(히4:8) 그리고 성전들 대신 교회들(행19:37)이라는 어휘를 사용한 것은 헬라어 학자들에게는 감추어져 있는 예언적 진리를 보여준다.
히4:8 만일 예수가 그들에게 안식을 주었더라면 하나님께서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리라.
행19:37 이 사람들은 교회들의 물건을 훔치지도 않았고 너희의 여신을 모독하지도 아니하였는데 너희가 여기로 데려왔으니
성령께서는 여호수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임을 지적하면서 여호수아 1-7장 사건이 대환란 때 다시 일어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계시록 12장 참고)
두 번째의 경우 성령께서는 이교도 우상숭배자들마져도 교회들을 갖게 될 것임을 부여주시 위해 교회들이란 단어를 사용하셨다.
만약 성전들(temples)이란 단어가 쓰였다면 독자들은 ‘성전들과 이교도 로마 제국’은 이제 사라졌고 기독교 기관인 ‘교회들과 기독교 로마’로 대체되었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권위역본에 교회들이란 단어를 사용하심으로써 이교도들 역시 교회들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 성경에는 잃어버린 노새를 찾는 이상산 이야기가 다른 한 곳에 언급되어 있다. 이 경우 모두 노새를 찾는 사건이 갑작스럽게 삽입되어 있어 독자를 얼떨떨하게 하며 두 경우 모두 적그리스도와 대환란을 다루는 사건들과 관계가 있다.
삼상9:3의 등장인물은 사울이며 이곳 창36:24에서는 거인족들로부터 나온 호리인이고 그들의 땅인 에돔은 천년왕국 때 불못이 될 장소이다.(마25:30-44, 옵, 사34:6-10)
삼상9:3 사울의 아버지 키스가 나귀들을 잃자 그의 아들 사울에게 말하기를 이제 너는 종 하나를 데리고 일어나 가서 나귀들을 찾으라.
마25:31-32 인자가 그의 영광 중에 오고, 또 모든 거룩한 천사들이 그와 함께 오면 그 때에 그가 그의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그 앞에 모든 민족들을 모아 놓고 마치 목자가 양들을 염소들에서 갈라 놓듯이 그들을 따로 갈라놓으리라.
사34:6-10 주의 칼이 피로 찼으며, 기름짐과, 어린 양과 염소의 피와, 또 숫양의 콩팥 기름으로 기름졌도다. 이는 주께서 보스라에서 희생을 내시며 이두메 땅에서 큰 살륙을 내심이라. 유니콘들이 그들과 더불어 내려오며 수송아지들이 수소들과 함께 내려오니, 그들의 땅이 피로 흠뻑 젖게 될 것이며 그들의 흙이 기름으로 윤택해지리로다. 이는 주의 보복의 날이요, 시온의 논쟁에 대한 보상의 해라. 그곳의 시내들은 역청으로 변하게 될 것이요 그곳의 흙은 유황으로 변하고, 그곳의 땅은 불타는 역청이 되리라. 그것은 밤낮 꺼지지 않을 것이며 그 연기들은 영원히 올라가리라. 대대로 그것은 황폐하게 남아 그곳을 통과하는 자가 영원 무궁토록 아무도 없으리라.
우리는 본문을 손대지 않고 있는 그대로 두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라고 생각한다. 본문을 바꾸어 봐야 아무런 새로운 조명을 얻지 못한다. 본문을 바꾸는 것은 이제껏 헬라어 원문보다 휠씬 더 많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한 그 성경을 고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스스로 자부하는 히브리어, 헬라어 학자들의 자만심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 이외에 그 어느 것도 아니다.
본문을 손대지 말라. 히브리어는 동일한 철자를 갖고 있는 어휘도 3개의 뜻을 가질 수 있으며 어근을 추적해 보면 10개 보다 더 많은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25 아나의 자손들은 이러하니 디손과, 아나의 딸인 아홀리바마라.
26 이들은 디손의 자손들이니 헴단과 에스반과 이드란과 크란이라.
27 에셀의 자손들은 이러하니 빌한과 사아완과 아칸이라.
28 디산의 자손들은 이러하니 우스와 아란이라.
29 이들은 호리인들에서 나온 족장들로서, 로탄 족장, 소발 족장, 시브온 족장, 아나 족장
30 디손 족장, 에셀 족장, 디산 족장이며 이들은 세일 땅에 있는 그들의 족장 가운데서 호리로부터 나온 족장들이라.
⑯ 다손(아니의 아들) : ‘황양’
⑰ 아홀리바마(아나의 딸) : 창36:2
⑱ 헴단(디손의 아들) : ‘즐거운’
⑲ 에스반(디손의 아들) : 이성 혹은 명철
⑳ 이드란(디손의 아들) : ‘우월한’ 혹은 ‘뛰어난 자’(이드로, 이트로 등)
㉑ 크란(디손의 아들) : 하프 혹은 동료
㉒ 빌한(에셀의 아들) : ‘온건한’ 혹은 ‘부드러운’
㉓ 사아완(에셀의 아들) : ‘곤란에 처한’
㉔ 야칸(에셀의 아들) : ‘뒤트는’(대상1:42의 야칸)
대상1:42 에셀의 아들들은 빌한과 사완과 야칸이요, 디산의 아들들은 우스와 아란이더라.
㉕ 우스(디산의 아들) : ‘모레의’ 혹은 ‘확고함’(창10:23)
㉖ 아란(디산의 아들) : ‘야생 염소’ 혹은‘ 능력’
'강 해 > 창세기(24-36)'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37장 12절 - 22절 (1) | 2025.06.21 |
---|---|
창세기 36장 31절 - 43절 (3) | 2025.06.20 |
창세기 36장 1절 - 19절 (3) | 2025.06.20 |
창세기 35장 16절 - 29절 (9) | 2025.06.19 |
창세기 35장 1절 - 15절 (4)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