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주의 비평 64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⑧

개혁신학은 그리스도인의 삶과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아갈 때 지켜야 할 규칙의 핵심을 공격합니다. 개혁신학은 성도를 신약의 갈보리산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구약의 시내산으로 돌려보냄으로써 성화의 가르침 면에서 큰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바울의 초점은 항상 십자가에 있었습니다. 오 어리석도다 갈라디아 사람들아,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이 너희 가운데서 너희 눈앞에 분명하게 제시되었는데 누가 너희를 꾀어 너희가 진리에 순종하지 못하게 하더냐?(갈3:1) 그러나 나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외에 결코 어떤 것도 자랑할 수 없나니 그분으로 말미암아 세상이 나에 대하여 십자가에 못박혀있고 나 또한 세상에 대하여 그러하니라(갈6:14).개혁주의 신봉자들은 절대로 사람이 율법의 행위들로 ..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⑦

개혁주의 전통에 속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언약 신학을 받아들입니다. 이 신학의 체계는 종교 개혁 이후에 발전되었습니다. 이 신학은 **세상의 처음부터 끝까지 존재하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모든 관계를 행위 언약, 은혜 언약, 그리고 종종 구속 언약으로 설명합니다.** 이들과는 대조적으로 세대주의 신자들은 아브라함 언약, 모세 언약, 다윗 언약, 새 언약 등과 같이 성경에 나와 있는 언약들만 강조한다.개혁주의 언약 신학자들은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과 신약의 성도들은 한 백성이고 신약의 교회는 단지 이스라엘의 연장선에서 그들의 계승자라고 가르칩니다. 그래서 그들은 교회란 모든 시대의 성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통 이해합니다. 그들은 신약 시대의 교회가 구약 시대 이스라엘의 계승자로서 이제 구약의 예언들과 약속..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⑥

위에서 개혁주의의 일곱 번째 위험에 대해 논하면서 우리는 개혁주의 신봉자들이 특히 성경의 예언에 관한 부분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문자적으로 평범하게 해석하는 것을 버렸다고 말했습니다. 여덟 번째 위험은 이미 그 부분에서 어느 정도 논의되었지만 여기서 다시 한 번 더 논의하고자 합니다.이제 상상력을 동원하여 당신이 페르시아 제국 시대에 에스더 왕비가 살던 때의 이스라엘 사람이라고 추정해 봅시다(대략 주전 470년경). 어느 날 당신은 이사야서와 미가서를 포함하고 있는 히브리 두루마리를 만났습니다. 이 둘은 다 그리스도의 탄생이 있기 700년 전쯤에 쓰인 책들입니다. 이 신성한 책들을 읽어 나갈 때 당신은 메시아의 오심에 대한 몇 가지 놀라운 예언들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러나 너 베들레헴 에브라다야, 네가 유..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⑤

초기 종교 개혁자들은 오리겐의 비유 해석과 어거스틴의 교회/왕국 개념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현시대의 대다수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아직도 이런 접근 방식으로 인해 예언에 관한 한 덫에 걸려 있거나 불구가 되어 있습니다. 대조적으로 세대주의적 해석 방법은 성경의 예언들을 평범하고 분명하며 정상적인 감각으로 해석해야 함을 강조합니다.개혁주의 신학자들은 또한 이 세상의 끝에 한 번의 부활이 있고 또 한 번의 심판이 있다고 가르칩니다. 그들은 모든 사람이 - 구원받았거나 안 받았거나 - 마지막 날에 일으켜져서 모두 한 번에 심판받는다고 이해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성경은 서로 다른 시기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다른 심판들과 천년의 기간을 두고 분리된 두 개의 부활 (의로운 자들을 위한 부활과 불의한 ..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④

최근에 개혁주의 신봉자들은 ‘로드십 구원’이라 불리는 믿음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로드십 구원 교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단순한 믿음만으로는 구원받을 수 없다고 가르칩니다. 뭔가 다른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스도께 확실하게 순종하겠다고 약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람은 그리스도의 주재권(주인 되심)에 굴복해야만 합니다. 그리스도의 명령들에 순종하고자 하는 마음이 구원의 필수 조건입니다. 즉 죄인은 영생을 얻기 위해 제자로서의 요구 사항들을 충족시키거나 적어도 그것들을 충족시키려는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우리는 죄인이 자기를 위해 죽으신, 사랑 많으신 구원자 그리스도의 긍휼 위에 자기 자신을 던지기 때문에 구원받는다는 것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우리의 약속이 아..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③

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은 사람의 전적 타락 교리를 사람의 무능으로 왜곡해서 전적으로 잘못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빌립보 감옥의 간수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내가 무엇을 해야 구원을 받으리이까?”(행16:30-31, 행2:37-38 비교) 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이 그 당시 바울의 입장에 있었다면 다음과 같이 답을 주었을 것입니다. “당신이 구원받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아무것도 할 것이 없습니다! 절대적으로 아무것도 할 것이 없어요! 당신은 영적으로 죽었고 따라서 다시 태어나기(중생하기) 전에는 결코 하나님께 반응할 수 없습니다!”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은 중생(구원)이 믿음보다 먼저 있어야 하고 사람은 믿기 전에 먼저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들은 사람이 믿을 수 있기 전에 먼저 영원한 생명을 가져야..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②

이것은 일반적으로는 ‘제한 속죄’(limited atonement)라고 알려져 있습니다(몇몇 개혁주의 신도들은 그것을 ‘확실한 속죄’(definite atonement)라고 부르기를 좋아합니다). 이 교리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시며 오직 선택된 자들의 죄들을 위해서만 죗값을 치르셨다고 가르치는 것입니다. 그분께서는 궁극적으로 불 호수에 있게 될 사람들을 위해서는 죽지 않았습니다. 가끔 이 교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그리스도께서는 구별 없이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지만 예외 없이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신 것은 아니다.이런 언어유희 게임(말장난)을 통해 그들은 실제로 그분께서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음을 의미하지 않으면서 마치 그분께서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개혁주의 신학의 위험들①

성경기록은 우리에게 “모든 것을 시험해 보고 [즉 모든 것을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점검하고] 선한 것을 굳게 붙들라.”라고 말합니다(살전5:21). 우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도로서 어떤 사람들이 하나님의 오류 없는 말씀에 비추어서 무엇을 가르치는지를 시험하고 점검해야 할 책임을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는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관련해서 성경 말씀대로 하려고 합니다. 이런 분석이 공평하고 정확하며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말씀과 견주어서 온전히 진실이기를 원합니다.개혁신학의 교리적 위험을 밝히기 전에 먼저 이런 운동의 긍정적 측면들을 생각해 보겠습니다.① 개혁신학에서 성경(66권)은 믿음과 실행의 유일한 규칙으로 간주됩니다. 개혁신학의 전통 안에 있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대단히 존중하며 성경이 어떤..

칼빈주의 비평 2025.04.15

칼빈주의 비평 - 나는 왜 칼빈주의를 믿지 않는가?⑤

5. 성도들의 견인(Perseverance of the saints)이제 마지막으로 칼빈주의 5대 강령의 다섯 번째 항목인 성도들의 견인 교리에 대해 잠시 이야기하겠습니다.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은 여러분이 선택받은 사람들이라면 여러분은 끝까지 믿음을 지속할 것이며 결국 구원받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어떤 사람을 강권적으로 다시 태어나게 하셨으면 그는 결국 구원받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그냥 한 번 성경적으로 정확하게 구원받으면 영원히 구원받는다로 생각하면 사실 이 교리는 성경적이고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여러분이 선택받은 자들임을 알 수 있는 길은 여러분이 끝까지 그분의 법에 신실한가에 달려 있습니다. 여러분이 끝까지 그분의 법에 신실하지 못하여..

칼빈주의 비평 2025.04.14

칼빈주의 비평 - 나는 왜 칼빈주의를 믿지 않는가?④

4. 저항할 수 없는 은혜(Irresistible grace)이제 칼빈주의의 네 번째 강령인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즉 거력할 수 없는 은혜 교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칼빈주의자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은 워낙 권능이 크시므로 사람들에게 그 큰 힘을 발휘해서 자기가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그 사람이 비록 원하지 않더라도 그 사람을 구원할 수 있다.어떤 사람들이 죄 가운데 있어 전적으로 타락하였고 하나님을 대적함에도 불구하고 그분은 자신의 구원의 은혜를 이런 사람들에게 베푸신다. 그 결과 그들은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즉 거역할 수 없는 불가항력적 은혜를 받게 되어 구원을 받게 된다.’다음의 예를 통해 볼 수 있듯이 런 주장에는 크게 두 가지 오류가 있습니다. 미국 역사에서 초기의 청교도들 즉 칼..

칼빈주의 비평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