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주의 비평 64

칼빈주의 비평 - 칼빈주의 TULIP 신학의 개요

칼빈주의는 16세기에 칼빈(John Calvin)이 발전시킨 신학이다. 그는 「기독교 강요」라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 신학을 발표하였으며 이것은 후에 장로교와 개혁주의 신학의 시금석이 되었다. 이 신학은 종종 TULIP이라고도 불린다. 칼빈 자신은 자신의 신학을 설명하기 위해 TULIP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이 단어는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그의 관점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TULIP 신학의 모든 기준점은 칼빈의 저서인 「기독교 강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칼빈 신학은 아르미니우스와의 교리에 대한 논쟁에서 제시된 5개의 강령으로 요약될 수 있다. 아르미니우스는 제네바에서 칼빈의 후계자인 베자(Theodore Beza) 밑에서 수학하였지만 칼빈주의를 배척하고 네덜란드에서 비칼빈주의 신학을 가르쳤다...

칼빈주의 비평 2025.04.09

칼빈주의 비평 - 칼빈의 점진적 과정 구원 신학

최근에 나는 세상에 널리 잘 알려진 침례교 역사학자인 비일 박사(Dr. David Beale)13)에게 “칼빈이 단 한 번이라도 유아 세례를 통해 사람이 다시 태어난다는 세례 중생 교리를 반박한 적이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이에 대한 그의 대답은 다음과 같다.비일 박사의 회신성경의 구원은 결코 점진적 과정이 아닙니다. 구원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람이 복음을 듣고 자신이 죄인이라는 것을 확신하고 성령님의 조명을 받아야 하지만 구원 자체는 일순간에 태어나는 출생입니다(요3:3). 구원은 영적 죽음에서 살아나는 것이며(엡2:1) 어둠의 권능에서 해방되어 그리스도의 왕국으로 일순간에 옮겨지는 것입니다(골1:13). 이렇게 일순간에 출생하는 구원 외에 다른 것은 사도행전에 기록된 적이 없습니다. 오순절 날에 3,..

칼빈주의 비평 2025.04.09

칼빈주의 비평 - 칼빈주의의 개론적 요점들

칼빈주의는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신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칼빈은 종교 개혁 초반부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활동하던 프랑스 출신의 목사이며 종교 개혁자이다. 그의 작품 중 기독교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기독교 강요」이다.그는 1530년경에 로마 카톨릭교회를 떠나 프랑스에서 스위스로 도망하였으며 1536년에 스위스에서 「기독교 강요」 1판을 출간하였다. 1541년에 그는 제네바에서 **교회 국가(The Church State)를 형성하였다. 이론적으로 칼빈은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믿었지만 실제로 제네바에서는 교회와 국가가 하나로 작동하였다. 제네바의 모든 시민들은 자기 자녀들이 유아 세례를 받게 해야만 했고 - 이것을 어기면 심한 핍박의 고통을 감당해야 했다 - 이렇게 유..

칼빈주의 비평 2025.04.08

칼빈주의 비평 - 구원에 관하여 우리가 믿는 것

이글은 네팔에서 선교하시는 클라우드(David Cloud) 선교사가 지은 「칼빈주의 비평」(Calvinism Debate)을 번역한 것이다.성경적 기독교의 관점에서 칼빈주의를 비평하기 전에 먼저 세상 사람들이 생각하는 칼빈주의가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되어 우선 가 정의하는 칼빈주의를 요약하여 기술하였다. 이것은 우리의 비평이 편파적인 것이 아니라 공정한 것임을 보여 주려 함이다.칼빈주의의 정의(위키백과의 칼빈주의 요약)칼빈이 창시한 칼빈주의(Calvinism) 혹은 개혁신학(Reformed Theology)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는 개신교의 사상 및 신학 사조로서 종교 개혁을 통해 체계화되어 당시 개신교 주류의 신학으로 자리 잡은 사상을 가리킨다. ‘칼빈주의’란 말은 칼..

칼빈주의 비평 2025.04.07

칼빈주의 비평 - 칼빈의 실체③

5. 칼빈의 철권 독재의 이유왜 칼빈은 이토록 무섭게 자기와 의견이 다른 사람들을 압제하였을까? 그 이유는 그의 왜곡된 교회관 때문이었다. 총신대학교 총장을 지낸 정일웅 박사의 논문 「독일 교회를 통해 배우는 한국 교회의 통일 노력」에는 ‘종교 개혁을 통한 교회의 분리와 연합’이라는 장에 칼빈의 교회관이 정확하게 들어 있다.로마 카톨릭교회는 중세기로 오면서 두 번째 분열의 위기를 겪게 된다. 직접적 동기는 1517년 10월 31일에 루터가 제기한 95개 조항의 반박문에 있었다. 그러나 더 구체적으로는 면죄부 사건과 관련해 로마 교회의 구원론에 문제가 있었다. 또 기독교 신앙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원칙이 되지 않고 인간 교황과 제도와 전통적 권위가 중요성을 띠면서 카톨릭교회는 많은 문제를 낳게..

칼빈주의 비평 2025.04.06

칼빈주의 비평 - 칼빈의 실체②

3. 제네바의 종교 재판1541년에 제네바로 다시 돌아온 뒤로 칼빈은 국가 교회를 만들기 위해 중세 로마 카톨릭교회가 사용한 종교 재판을 이용하였다. 그는 신약 교회가 경험한 적이 없는 ‘교회 계율’을 도입하고 종교국을 만들어 제네바 시민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였다. 이런 감독 체제가 들어선 이후로 제네바에서는 사생활의 자유가 사라졌다. 도덕 경찰관들은 어느 집이나 들어가 모든 것을 샅샅이 검사하였다. 하나님의 계율을 하나라도 어겨서는 안 된다는 도덕적 테러 속에서 제네바 시민들은 삶에서 즐거움을 주는 것 - 연극, 오락, 민속 축제, 춤, 온갖 형태의 유희, 심지어 스케이트 타는 것도 - 을 다 박탈당하였다. 그들에게 허락된 것은 살다가 죽는 것, 일하고 복종하며 교회에 출석하는 것뿐이었다. 제네바에..

칼빈주의 비평 2025.04.05

칼빈주의 비평 - 칼빈의 실체①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장로교를 창시한 프랑스의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자이며 성공회의 성인이기도 하다. 칼빈은 프랑스 북부 피카르디 지방의 누와용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지방 귀족의 비서/경리 등으로 일한 소시민이었다. 처음에 그의 아버지는 칼빈이 카톨릭교회 사제가 되기를 원했으나 카톨릭교회와의 갈등과 시대의 변화 등으로 인해 아들에게 진로를 바꿀 것을 권했다.칼빈은 1523년 말에 파리의 몽테규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인문학자이자 종교 개혁에 많은 영향을 준 에라스무스와 라블레 등에게 수학하며 수사학 등을 배웠다. 이시기에 그는 그의 사촌인 올리베땅(P. R. Olivetan, 1506-1538) 등의 영향을 받았다. 1528년 파리에서 학업을 시작한 로욜라도 칼빈과 비..

칼빈주의 비평 2025.04.04

칼빈주의 비평 - 어거스틴의 실체⑥

11. 어거스틴의 다른 사상① 마리아 숭배: 비록 자기 나름의 마리아 사상을 펴지는 않았지만 어거스틴은 어느 누구보다도 더 많이 마리아에 대해 언급하였다. 431년에 열린 에베소 공회에서 로마 교회가 공식적으로 마리아를 ‘영원한 동정녀’, ‘하나님의 어머니’로 부르기 전에 이미 그는 마리아를 그렇게 불렀다. ② 교회: 그는 교회는 오직 하나만 있으며 그 안에는 두 개의 요소가 있다고 믿었다. 그중 하나는 보이는 요소로서 카톨릭 성례와 성직자 계급 체계 및 평신도 그룹이고 다른 하나는 보이지 않는 요소로서 교회에 속한 영혼들이었다. 전자는 구원을 선포하고 성례를 베푸는 제도적 교회, 즉 그리스도가 세운 카톨릭교회이고 후자는 하나님이 알아주시는 선택받은 자들의 모임이다. 그는 자신의 저서 「하나님의 도시」에..

칼빈주의 비평 2025.04.03

칼빈주의 비평 - 어거스틴의 실체⑤

10. 어거스틴과 도나티스트: 교회의 무력 사용주후 251년, 데키우스(Decius) 황제의 박해가 끝나자 집중적으로 박해를 받았던 로마 교회와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 교회는 엄청난 후폭풍에 휘말리게 되었다. 모진 고초를 이기지 못하고 신앙을 저버린 배교자들 중에 다시 교회로 돌아오고 싶어 하는 이들이 생겨나자 교회는 이들을 용서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과 교회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이들을 쉽게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의견으로 나뉘었다.당시 카르타고의 감독이던 키프리안(Cyprian, 200-258)은 일정 기간 신앙 훈련을 받는다는 조건으로 교회가 이들을 용서해야 하며 이 모든 결정은 감독에게 맡겨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이 문제를 봉합하려 하였지만 그의 주장은 수용되지 않았다. 신자들이 죽음으로 신..

칼빈주의 비평 2025.04.02

칼빈주의 비평 - 어거스틴의 실제④

8. 어거스틴의 하나님의 도시어거스틴은 신약 시대에 신정 정치를 구현하려는 국가 교회가 세상에 확립되는 시대에 태어나 마니교, 플라톤주의, 알렉산드리아 철학 등을 복합적으로 묶어 그리스도의 대리자 교황이 세상을 다스리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확립해 준 철저한 카톨릭 신자였다. 어거스틴의 이런 사상은 그의 저서 「하나님의 도시」에서 잘 드러난다. 유럽 교회의 성서로 불린 「하나님의 도시」 - 원제목은 「이교도들에 맞서는 하나님의 도시」임 - 라는 ‘역사 사회 철학서’는 예수님의 복음에다 키케로, 마니, 플라톤 등의 이교 사상을 혼합한 것으로, 카톨릭교회가 지상에 교회 왕국을 건설하기 위해 필요한 정치적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막대한 공헌을 했다. 예수 그리스도를 교회로 대체한 자들은 하늘로부터 땅에 임하는 문자..

칼빈주의 비평 2025.04.01